병이 있으면 반듯이 치유법이 있습니다.
병이 있으면 반듯이 치유법이 있습니다.
질병별치유요법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은 자신의 간 세포를 공격하는 항체와 면역 세포가 활성화되는 면역 반응이 일어나서 간 세포가 파괴되고, 섬유화를 동반한 염증 반응이 지속되는 만성 질환으로서, 간경변증이나 간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성 간염의 원인
정상적인 면역체계는 자기 몸의 구성요소(세포나 단백질)에 대하여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것을 면역 관용(immunologic tolerance)이라고 하는데, 자가면역성 간염은 면역 체계에 이상이 생기면서 면역 관용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자신의 간 세포를 공격하여 발생한다.
자가면역성 간염 환자에게 간염 이외에 관절염, 혈관염, 신장염 등이 함께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체액성 면역 반응(humoral immunity response)의 이상에 의해 초래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서구에서는 매년 인구 10만 명당 0.69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 가능하고, 여자에게 더 많이 발병한다. 대부분 서서히 진행하지만, 일부에서는 간 세포가 급격하게 파괴되는 전격성 간염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증상
발병 직후의 자가면역성 간염은 바이러스 간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여, 급성바이러스 간염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피로, 권태, 식욕부진 등의 일반적인 간염 증상뿐 아니라, 황달의 빈도가 높은 경향이 있고, 무월경, 여드름, 관절염, 피부반점, 발진, 대장염, 늑막염 및 빈혈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남성 및 일부 환자들은 전혀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어서, 초기에 질환을 발견하지 못하고 부종, 혈액응고 장애, 정맥류 출혈과 같은 간경변증의 합병증이 나타나서야 병원을 찾는 환자도 있다.
진단
자가면역성 간염은 젊은 여성과 중년 여성에서 주로 발병된다. 만성간염이 있는 여성이면서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증거가 없고, 알코올과 약물에 의한 간염과 대사성 질환 및 유전적 질환이 없으며, 다른 자가 면역성 징후들이 동반된 경우에 자가면역성 간염을 의심할 수 있다. 자가면역성 간염의 정의에 따라 자가항체의 동반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진단에 유용한 자가항체는 항핵항체(antinuclear antibody, FANA)와 평활근(smooth muscle antibody, sm Ab)에 대한 자가항체가 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이러한 자가면역 항체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종종 바이러스성 간간염 환자에게서도 자가항체가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증상과 혈청검사 및 간조직 검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발병 유무를 확정한다.
검사
간기능 검사,간염 바이러스 항원, 항체 검사(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하여), 간초음파 검사, 자가면역항체 검사, 간조직 검사 .
치료
치료는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기능을 억제하는 것을 주된 방향으로 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인 스테로이드제제가 가장 주요한 치료 약물이며, 이는 증상을 완화시키고 간 내 염증 반응을 억제하여 간 기능을 호전시킴으로써 생존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서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약을 끊으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평생 복용해야 할 수 있으며, 간경변으로의 진행을 완벽하게 막지는 못하는 제한점을 가진다.
스테로이드 치료는 장기간 복용할 경우 얼굴 부종과 여드름이 생길 수 있고, 털이 많아지며, 비만,
당뇨병, 골 감소 및 신경정신학적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스테로이드제 복용은 전문의에 의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치료이다.
스테로이드 단독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약한 경우에는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이라는 면역억제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병합요법은 스테로이드 단독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스테로이드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합병증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 질환이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간 이식이 유일한 치료 방법이며, 현재까지 간 이식 후 자가면역성 간염이 재발되었다는 보고는 없다.
경과·합병증
가벼운 간염은 증상도 없고 간경변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중증의 간염에서는 간 기능 악화가 반복적으로 발생하여 결국 간경변으로 진행하고, 간부전이 발생하여 사망하게 될 수 있으며, 간경변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간암이 발생할 확률도 높아지게 된다. 일부에서는 간세포가 급속히 파괴되는 전격성 간염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 경우 스테로이드 치료를 신속하게 투여하면 생존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자가면역성 간염의 자연치유요법**
간질환의 진행을 막고 손상된 세포를 보수하기 위해 휴식과 안정이 필요하고 식사조절이 중요하다.
적절한 영양공급은 손상된 간세포의 치유와 재생, 간 기능 회복을 돕게 되고 간염으로 인한 식욕저하, 메스꺼움, 구토에서 비롯된 체중감소를 교정하거나 예방한다.
간염으로 인한 에너지 저장고인 글리코겐 저장고를 보충하여 저혈당을 예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양질의 단백질 섭취와 균형잡힌 식사로 손상된 간세포를 재생시키고 체내 단백질이 보유시키는 것이다.
1)식이요법- *식사는 오백식품과 인스턴트 식품을 금하고 현미에 율무,팥,검정콩,완두콩, 등의 잡곡밥으로 하여 충분히 씹어서 침으로 삮혀 삼킨다.
식생활 실천사항
1. 소량의 음식을 자주 섭취하여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한다- 간 조직 회복과 단백질 분해를 막기 위해 충분한 당질과 칼로리 공급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개는 식욕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소량의 식사를 자주 섭취하고 필요 시 기능식품이나
영양보충음료 등을 섭취할 수 있다.
2.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 손상된 간세포를 재생시켜 간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섭취한다.
3. 콩류와 채소, 과일 등을 골고루 섭취한다.
- 콩에는 간에 좋은 양질의 단백질과 무기질이 많으므로 콩이나 두유를 즐겨 먹도록 한다.
이외에도 풍부한 비타민과 칼로리 공급을 위해 채소와 과일도 매일 꾸준히 섭취하도록 한다.
4. 면역기능 저하로 감염 위험이 높으므로 손 세척(handwashing) 및 소독(disinfectant)을
통해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한다.
5. 오후가 될수록 피로감이 더하며 메스꺼움, 구토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아침식사를 충분히
섭취한다.
6. 알코올 섭취를 금해야 하며 흡연도 삼가한다.
7.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 및 한약제 복용은 금한다.
* 청혈 (해독)요법
-간.담 청소 프로그램-
-체내 정화프로그램 간이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혹시 있을 간,담관내의 담석(결석)을 제거해 주는 "간청소"프로그램을 실시한다
- Clear Start Program(간장 청소,대장 청소,신장 청소프로그램실시) -
-효소 / 절식.단식 요법-
-기능 식품에 의한 요법(해독"청혈"요법+면역조절제+세포활성화 영양제)으로 간기능을
활성화시켜 줍니다.
** 자연 치 유 요 법 요약 **
산성화된 체질과 체내(혈액)에 축적된 요산.젖산 및 독성 물질과 이로인한 면역기능의 이상(자가면역 및 과민성 면역질환)으로 발생하므로 항산화 해독요법과 적절한 영양 공급과 면역력 강화.조절의 치유요법이 필요하다.
천연이온미네랄수(생수에 비에스티엠 희석)또는 알칼리환원수를 하루에 2리터 정도 음용합니다. 항산화 비타민을 함유한 천연종합영양제(알파피엑스피플러스)1스푼(1포)를 하루 3회(공복/식간)따뜻한 음용수에 잘 섞어서 섭취합니다.
하루 2회(기상 직후/취침전) 모노리바 1포와 트랜스퍼팩터플러스 2캡슐를 음용수 2컵으로 섭취합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30 |
버거씨병 (Buerger's disease)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2256
|
health365 | 2020.09.12 | 0 | 2256 |
129 |
안과 질환(백내장,녹내장,황반부 변성...)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2290
|
health365 | 2020.09.12 | 0 | 2290 |
128 |
쿠싱 증후군 (Cushing’s syndrome)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2147
|
health365 | 2020.09.12 | 0 | 2147 |
127 |
수족구병 (hand-foot-and-mouth disease)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2175
|
health365 | 2020.09.12 | 0 | 2175 |
126 |
자가면역성 간염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2183
|
health365 | 2020.09.12 | 0 | 2183 |
125 |
패혈증 (sepsis)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2072
|
health365 | 2020.09.12 | 0 | 2072 |
124 |
자궁내막증(자궁내막염)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2231
|
health365 | 2020.09.12 | 0 | 2231 |
123 |
전립선 비대 / 염증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73
|
health365 | 2020.09.12 | 0 | 473 |
122 |
요산 수치 증가와 치유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89
|
health365 | 2020.09.12 | 0 | 489 |
121 |
RBC WBC 수치와 비뇨기 질환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522
|
health365 | 2020.09.12 | 0 | 522 |
120 |
부신 피질 기능 항진증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514
|
health365 | 2020.09.12 | 0 | 514 |
119 |
발기부전 / 정력 증강의 치유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41
|
health365 | 2020.09.12 | 0 | 441 |
118 |
신장투석(복막 투석/혈액 투석)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85
|
health365 | 2020.09.12 | 0 | 485 |
117 |
생리통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91
|
health365 | 2020.09.12 | 0 | 491 |
116 |
신부전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38
|
health365 | 2020.09.12 | 0 | 438 |
115 |
방 광 염,오줌소태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99
|
health365 | 2020.09.12 | 0 | 499 |
114 |
질 염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65
|
health365 | 2020.09.12 | 0 | 465 |
113 |
기능성 자궁 출혈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39
|
health365 | 2020.09.12 | 0 | 439 |
112 |
요로 감염 / 요로.신장 결석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500
|
health365 | 2020.09.12 | 0 | 500 |
111 |
콩팥질환의 이해와 단 백 뇨 . 혈 뇨
health365
|
2020.09.12
|
추천 0
|
조회 454
|
health365 | 2020.09.12 | 0 | 454 |
빠른상담영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