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신장경의 임상 요혈 용천(勇泉) : 정목혈(井木穴) 구급 요법의 요혈, 신의급성병. 소변 질환, 발꿈치의 병.
연곡(然谷) : 형화혈(熒火穴) 혀병, 자궁 및 생식기 염증, 소화불량.
태계(太谿) : 유토혈(兪土穴) 원혈 신의 원기를 조절. 신을 보사 할 수 있다. 치통, 신염, 요통에 널리 이용.
수천(水泉) : 극혈(郄穴) 급성병에 이용.
태종(太種) : 락혈(絡穴).
조해(照海) : 음교맥 통혈(統穴).
복류(復留) : 경금혈(經金穴) 신을 보하는 요혈.
교신(交信) : 복류의 보조혈.
축빈(築賓) : 장단지의 병과 해독 작용, 신염에 이용.
음곡(陰谷) : 합수혈(合水穴) 전신(오장)의 한열을 조절, 신병과 고혈압, 생식기병에 요혈.
횡골(橫骨) : 하복부(下腹部)와 생식기병의 요혈.
황유(肓兪) : 신병의 진단처 및 치료점.
신봉(神封) : 신경 → 심으로 들어가 심포경에 발생.
유부(兪府) : 신경이 끝나는 혈처.
나. 신장경 27혈
혈명
|
부위
|
공통증
|
특효증
|
1. 용천(勇泉) |
발바닥(발바닥 중앙, 앞에서 1/3발가락을 오므리면 함몰하는 곳) |
발, 허리, 하복부 냉통(부인병) |
심, 신장병 |
2. 연곡(然谷) |
발(안 복사뼈 전 하방, 주상골의 후하단 함몰부) |
위와 같음 |
자궁출혈, 방광염, 편도염, 심근염 |
3. 태계(太谿) |
발(안 복사뼈 후각 1.5cm, 박동부) |
수족 냉증(심장 질환), 협심증 |
위통, 구토, 변비 |
4. 태종(太種) |
발(안 복사뼈의 후하방. 아킬레스건 종지부) |
심장쇠약, 인후병 |
신체궐냉, 요배통 비뇨기 질환 |
5. 수천(水泉) |
발(안 복사뼈의 후하방 약 2cm옆주름, 태계혈 밑 3cm) |
월경불순, 자궁 하수, 자궁 경련 |
방광경련, 임질 |
6. 조해(照海) |
발(안 복사뼈의 아래 3cm) |
부인병, 자궁 경련 |
중풍 불수, 장선통, 임질 |
7. 복류(復留) |
하퇴 (안 복사뼈 상방 6cm, 아킬레스건 앞쪽) |
신장. 방광염, 정력 감퇴 |
고혈압, 반신불수, 요통 |
8. 교신(交信) |
하퇴(안 복사뼈 상방 6cm, 복류혈 앞1.5cm) |
부인병 (자궁내막염) |
도한, 임질 |
9. 축빈(築賓) |
하퇴 (안 복사뼈 상방 15cm, 아킬레스건 앞쪽) |
탈장, 방광통 |
소아 태독, 정신착란 |
10. 음곡(陰谷) |
무릎 오금(슬 관절의 후내측 옆주름위, 위중혈의 안쪽) |
자궁출혈, 남자 음습 |
만성 임질, 무릎통 |
11. 횡골(橫骨) |
아랫배(치골 연골 결합의 바로위, 정중선 외방 1. 5cm) |
생식기, 비뇨기 질환 |
방광염, 허약, 정력 감퇴 |
13. 대혁(大赫) |
아랫배(황유혈(배꼽옆) 밑 1.2cm) |
냉, 대하, 남자 음습 |
정력 감퇴 |
13. 기혈(氣穴) |
아랫배(황유혈 하방 9cm) |
부인병(월경불순) 배꼽밑 적의 상하 고통, 요배통 |
|
14. 사만(四滿) |
아랫배(황유혈 밑 6cm) |
위와 같음 |
적은 위와 같음, 대장염 |
15. 중주(中注) |
아랫배(황유혈 밑 3cm) |
자궁 주위염, 월경불순 |
소골반염증 |
16. 황유(肓兪) |
배꼽옆(배꼽 양측 1.5cm) |
위통, 장선통, 변비 |
정력 감퇴, 부인병 |
17. 상곡(商曲) |
배(황유혈 상방 6cm) |
상복, 하복통, 부인병 적취(?聚) |
눈의 충혈 |
18. 석관(石關) |
배(황유혈 상방 9cm) |
부인병(복통), 위 |
방광 질환 |
19. 음도(陰都) |
윗배(황유혈 상방 12cm) |
위 |
눈, 천식, 폐기종 |
20. 복통곡(腹通谷) |
윗배(황유혈 상방 15cm) |
심장병, 호흡기병의 천식 |
눈, 건망증 |
21. 유문(幽門) |
윗배(황유혈 상방 18cm) |
위장통, 구토 |
건망증, 기침, 눈 |
22. 보랑(步廊) |
가슴(제 5늑간, 흉골 정중선 외방 약 6cm) |
흉막염, 기관지염, 늑간 신경통 |
심장병(천식) |
23. 신봉(神封) |
가슴(제 4늑간, 흉골 정중선 외방 6cm) |
위와 같음 |
유선염 |
24. 영허(靈墟) |
가슴(제 3늑간, 흉골 정중선 외방 6cm) |
위와 같음 |
식도(膈症: 암, 경련) |
25. 신장(神藏) |
가슴(제 2늑간, 흉골 정중선 외방 6cm) |
위와 같음 |
위와 같음 |
26. 욱중(或中) |
가슴(제 1늑간, 흉골 정중선 외방 6cm) |
위와 같음 |
도한(盜汗: 잠잘 때 땀) |
27. 유부(兪府) |
윗가슴(쇄골 밑쪽, 흉골 정중선에서 6cm, 제 1늑골 바로위 함몰부) |
위와 같음 |
갑상선 비대, 기침, 격증 |
가. 심포경의 임상 요혈 중충(中衡) : 정목혈(井木穴), 구급시에 출혈, 급성병에 사용, 심보, 심흉통.
노궁(勞宮) : 형화혈(熒火穴), 열병, 노병(勞病)에 이용, 피로의 요혈.
태릉(太陵) : 유토혈(兪土穴), 원혈, 원기를 조절, 사하는 혈, 심병의 주치혈.
내관(內關) : 락혈(絡穴).
간사(間使) : 경금혈(經金穴), 심(心), 흉(胸), 두(頭), 정신병, 심통.
극문(郄門) : 극혈(郄穴), 급성병에 주로 이용. 코피, 정신병에 이용.
곡택(曲澤) : 합수혈(合水穴), 고혈압, 중풍, 심병, 반신불수에 이용한다.
천지(天池) : 심포경이 끝나는 곳.
나. 심포경 9혈
혈명
|
부위
|
공통증
|
특효증
|
1. 천지(天池) |
가슴(제 4 늑간, 유두선 외방 3 cm) |
심장성 질환 |
기관지염, 흉근통, 늑간 신경통 |
2. 천천(天泉) |
팔(상완 상부의 안쪽, 앞겨드랑 옆주름에서 곡택혈 쪽 6㎝) |
심장, 폐, 기관의 가슴앓이 |
상완통 |
3. 곡택(曲澤) |
팔꿈치(주와의 안쪽, 상완 이두근 건의 안쪽) |
심장 |
열성병 |
4. 극문(郄門) |
팔(전완 전면의 중앙, 안 손목 상방 15cm) |
흉막염, 심계 항진 |
각혈(심, 폐, 비, 위) |
5. 간사(間使) |
팔(안 손목 옆주름 중앙(대릉혈)의 상방 9cm) |
심통, 협심증 |
정신이상(열병, 중풍),가래톳(겨드랑) |
6. 내관(內關) |
팔(안 손목 옆주름 중앙의 상방 6cm) |
심장, 실신 |
|
7. 태릉(太陵) |
팔목(주관절 전면(안 손목) 옆주름 거의 중앙부) |
심장(호흡곤란, 흉통), 위장병 |
신열, 두통, 히스테리 |
8. 노궁(勞宮) |
손바닥(손바닥 거의 중앙, 제 3,4 중지의 함몰부) |
심장성 질환 |
중풍(정신 흥분), 황달, 혈변, 소아경변 |
9. 중충(中衡) |
손가락(중지요측 손톱 뿌리 외방 3㎜) |
심장성 질환(흉통) |
정신박약 |
가. 삼초경의 임상 요혈 관충(關衡) : 정금혈(井金穴) 인사불성, 급성병에 출혈, 인후병, 하복통.
액문(液門) : 영수혈(榮水穴) 삼초의 열, 류머티즘, 알레르기, 차멀미, 인사불성.
중저(中渚) : 유목혈(兪木穴) 삼초의 보혈, 요통, 완관절통, 원기쇠약.
양지(陽池) : 원혈(原穴) 삼초의 허실을 치료, 자궁위치 이상, 원기를 조절, 구안와사 등.
외관(外關) : 락혈(絡穴) 감기, 두통, 반신불수, 한열, 협흉통, 견통.
지구(支垣) : 형화혈(熒火穴) 삼초의 열을 치료, 위와 대장을 조절, 협통, 흉통 질환.
회종(會宗) : 극혈(郄穴) 삼초의 급성병을 치료.
삼양락(三陽絡) : 삼초의 전체적인 질병과 출혈성 병에 이용한다.
천정(天井) : 합토혈(合土穴) 삼초의 기능을 억제하는 혈. 삼초실에 이용, 연주창.
노회(臑會) : 견갑통의 요혈. 사지의 열을 해열.
견료(肩髎) : 삼초실의 주요 반응처. 류머티즘에 이용한다.
천료(天髎) : 귀, 치통에 사용한다.
예풍(翳風) : 혈압, 구안 괘사, 신경통, 귀, 치, 안병(眼病).
화료(和髎) : 혈압, 구안 괘사, 신경통, 귀, 치, 안병(眼病).
이문(耳門) : 혈압, 구안 괘사, 신경통, 귀, 치, 안병(眼病).
사죽공(絲竹空) : 주로 안병(眼病)과 두통에 사용된다.
나. 삼초경의 23혈
혈명
|
부위
|
공통증
|
특효증
|
1. 관충(關衡) |
손가락(제4지 손톱 뿌리 측칙 외방 3cm) |
눈, 목, 혀 |
두통, 어지러움, 견, 완신 경통 |
2. 액문(液門) |
손등(제4, 제 5중수 지절관절 사이의 적백육 경계) |
눈, 귀, 이빨 |
두통. 어지러움 |
3. 중저(中渚) |
손등(제4, 제5중수지절 관절간의 바로위 함몰부) |
목, 귀, 눈 |
견, 완신경통 |
4. 양지(陽池) |
팔목(손등쪽 주관절 중앙의 함몰부) |
당뇨병, 갈증, 열병한불출 |
|
5. 외관(外關) |
팔등(양지혈의 상방 6 cm,요골과 척골 관절의 위쪽) |
상지통 |
귀울림(耳鳴) |
6. 지구(支垣) |
팔등(양지혈 상방 9cm중앙 요골쪽) |
얼굴 눈의 충혈, 인후 +. 호흡곤란(심장) |
열병한불출 |
7. 회종(會宗) |
팔등 양지혈 상방 9 cm중앙 척골쪽, 지구 혈에 3 cm) |
귀 |
화농성 질환, 곽란 |
8. 삼양락(三陽絡) |
팔등(양지혈 상방 12cm중앙) |
귀, 이 |
발열 동통, 마비의 중풍 |
9. 사독(四瀆) |
팔등(주두의 하방 15cm척골과 요골의 사이) |
위와 같음 |
신경통, 인후 질환 |
10. 천장(天井) |
팔꿈치(주두의 상방 3cm의 함몰부) |
귀 질환 |
정신착란, 뇌척수막염(大風) |
11. 청냉연(淸冷淵) |
팔(주두의 상방 6cm) |
상완통, 옆구리통 |
두통 |
12. 소락(消濼) |
팔(견봉과 주두의 중간, 삼각근 중지부 약간 후하방) |
상완 신경통 |
두통, 경항의 굳음 |
13. 노회(臑會) |
팔(견봉의 외단 뒤쪽 밑에서 하방 9 cm 삼각근 위) |
견관절통, 삼각근 류마티스, 강완신경통 |
목의 부어 오름 |
14. 견료(肩髎) |
견갑(견봉 외단 뒤쪽 밑 함몰부) |
견관절염 |
중풍, 반신불수 상지운동근 마비 |
15. 천료(天髎) |
어깨(견갑골 상각 상방, 견정혈 뒤 3 cm) |
어깨 굳음, 상지통 |
고혈압, 두통, 협심증 |
16. 천유(天牖) |
뒷목(유상 돌기(완골) 후하부, 흉쇄유돌근 부착 부의 뒤쪽) |
귀, 눈 충치 |
|
17. 예풍(翳風) |
귓불뒤(이수와 유상 돌기(완골)사이의 함몰부) |
귀 목사(目斜), 입 |
만성 중이염 |
18. 계맥(瘈派) |
귀뒤 (이개후부, 유상 돌기 앞쪽 중앙, 뼈의 함몰부) |
귓병, 귀울림 |
뇌출혈, 두통 |
19. 노식(顱息) |
귀뒤(이개후부 유상 돌기 기저의 앞쪽 계맥혈 위 약 3 cm함몰부) |
위와 같음 |
두중, 어지러움, 뇌막염 |
20. 각손(角孫) |
귀위(옆 두골부, 상이각에 해당하는 발제의 함몰부 |
구내염, 치통 |
결막염 |
21. 이문(耳門) |
귀앞(이주의 약간 전상부, 하악골 관절 돌기의 후상부) |
안면 마비, 귀, 이, 안질 |
|
22. 화료(和髎) |
귀앞(측두부, 협골궁의 위쪽, 이륜의 앞쪽 박동부) |
면종, 코, 귀울림, 안면신경 경련 |
두중 |
23. 사죽공(絲竹空) |
눈썹(눈썹의 외단 함몰부) |
각막실질염, 결막염 |
어지러움(감기) 두통, 인사불성 |
가. 담경의 임상 요혈 동자료(瞳子료) : 모든 눈병, 두통, 강자극은 피한다. 특히 출혈에 주의.
청회(聽會) : 상치통, 구안 괘사, 불면증, 눈병.
함염(稟厭) : 맥진처, 두기(頭氣)의 진찰, 측두통.
곡빈(曲鬢) : 구안 괘사(口眼?斜), 중풍, 고혈압, 귀 눈병.
두규음(頭竅陰) : 신경성 병, 후 두통 이통(耳痛), 불면증.
완골(完骨) : 신경성 병, 후 두통, 이통(耳痛), 불면증.
양백(陽白) : 전 두통, 눈병, 구안 괘사.
두임읍(頭臨位) : 전 두통, 눈병, 구안 괘사, 견통, 신경성 병, 정신병.
목창(目窓) : 목병(目病)의 요혈, 두통, 코병.
뇌공(腦空) : 후 두통, 두통, 뇌질환, 로병(勞病) 등.
풍지(風池) : 모든 풍병, 정신 및 신경성 병, 견병, 혈압병.
견정(肩井) : 담실의 진찰처, 견병(肩病), 빈혈증, 유병(乳病), 중풍.
일월(日月) : 담(膽)의 모혈(募穴), 진찰과 신병의 요혈.
경문(京門) : 신(腎)의 모혈(募穴), 신병의 요혈.
대맥(帶脈) : 대요통(帶要痛)의 요혈.
거료(居髎) : 대요통(帶要痛)의 하체 측병, 변비, 맹장염.
환도(環跳) : 하지통의 요혈, 중풍, 혈압병, 반신불수, 하지 신경통의 요혈.
풍시(風市) : 하지통의 요혈, 중풍, 혈압병, 반신불수, 하지 신경통의 요혈.
족양관(足陽關) : 족한병(足寒病)의 요혈, 한병(寒病)의 요혈.
양릉천(陽陵泉) : 슬병(膝病), 모든 근병, 하지통, 측병(側病).
외구(外丘) : 담의 급성병을 주치, 하지병.
광명(光明) : 락혈(絡穴).
양보(陽輔) : 형화혈(熒火穴) 담을 사(瀉)하는 요혈, 담실의 요혈.
현종(縣鐘) : 수회(髓會), 모든 골수병, 빈혈, 변비, 원기허약, 중풍예방, 반신불수 등.
구허(丘墟) : 원혈(原穴), 원기를 조절.
족임읍(足臨立) : 유목혈(兪木穴), 담목의 대표혈로서 다른 장기병을 치료할 때에 이용. 요통, 대맥병의 요혈.
지오회(地五會) : 발등이 아플 때에 사용.
협계(俠谿) : 영수혈(榮水穴), 담을 보하는 요혈.
족규음(竅陰) : 정금혈(井金穴), 급성병 등에 출혈, 담의 허실기능을 조절한다.
나. 담경의 44혈
혈명
|
부위
|
공통증
|
특효증
|
1.동자료(瞳子髎) |
외안각(외안각의 외방 약 1.5cm 뼈의 함몰부) |
눈 녹내장, 침침함(각막 백반) |
|
2.청회(聽會) |
귀앞(이주 밑 앞쪽, 하악골의 뒤쪽, 입을 벌리면 함몰하는 곳) ☆ 귀와 이의 아픔 |
|
|
3.객주인(客主人) |
귀앞(협골궁의 중앙부 위쪽) |
귀, 눈, 입의 질병 |
두통, 안면 신경마비 |
4.함염(稟厭) |
옆머리(액각발제의 후두, 두유 혈의 밑 약 3cm) |
귀울림, 녹내장, 편두통 |
|
5.현로(懸顱) |
옆머리(액각발제의 후두 앞혈의 밑 약 3cm) |
안면열감(감기), 눈 충혈, 치통, 두통 |
|
6.현리(懸釐) |
옆머리(액각발제의 후부, 현로 혈의 밑 3cm) |
위와 같음 |
열병한불출 |
7.곡빈(曲鬢) |
옆머리(협골궁의 상방 3cm) |
위와 같음 |
안질, 치통 |
8.솔곡(率谷) |
옆머리(귀 위쪽 발제내 4.5cm의 함몰부) |
위장 증상, 고혈압, 숙취, 구토, 어지러움, 위냉증 |
|
9.천충(天衝) |
옆머리(귀 뒤쪽 발제에서 상방 6 cm 점의 약 1cm 앞쪽) |
정신착란, 편두통. 치주염 |
|
10.부백(浮白) |
뒷머리(천충혈 후하방 3cm) |
치통, 두통 |
열성병, 고혈압, 저혈압 |
11.두규음(頭竅陰) |
뒷머리(유상 돌기 기저의 함몰부) |
위와 같음 |
|
12.완골(完骨) |
뒷머리(유상 돌기 뒷쪽, 돌기 첨단과 유돌절흔의 중앙) |
안면 신경마비. 신경쇠약, 편두통 |
후두, 경부 굳음 |
13.본신(本神) |
앞머리(신정혈 외방 9cm) |
뇌 신경계 질환, 두통, 어지러움, 후두부 긴장 |
소아 경련 |
14.양백(陽白) |
이마(눈썹 중앙의 상방 약 3cm, 동공의 직상) |
눈 |
졸음 방지 |
15.두임읍(頭臨位) |
앞머리(동공의 직상, 발제내 1.5cm) |
눈, 코의 질환, 축농증 |
뇌출혈, 인사불성 |
16.목창(目窓) |
앞머리(임읍혈의 후방 3cm) |
면종, 눈, 두통 |
|
17.정영(正營) |
앞머리(동공 직상의 선, 목창 혈의 후방 3 cm) |
치통, 편두통 |
|
18.승령(承靈) |
뒷머리(동공의 직상선. 정영혈 후방 4.5cm) |
뇌풍(마비, 경련, 어지러움), 두통 |
코피, 천식 |
19.뇌공(腦空) |
뒷머리(승령혈 후방 4.5cm, 상한선의 직상부) |
뇌풍(뇌척수 질환), 목줄의 긴장과도, 후두격통 |
귀울림 |
20.풍지(風池) |
목줄(뇌공 혈의 하방발제,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의 기시근간의 함몰부) |
머리, 뇌신경 질환 일반 |
축농증, 귀울림 |
21.견정(肩井) |
어깨(제 7 경추극돌기와 견봉과의 중앙, 유두선상) |
뇌, 폐결핵 |
부인 난산, 요통, 견통(감기), 과로 |
22.연액(淵液) |
옆구리(겨드랑 중앙(극천혈)에서 하방 9cm의 늑간) |
흉막염, 폐렴, 기관지염 |
늑간 신경통, 가래톳(겨드랑) |
23.첩근(輒筋) |
옆가슴(극천혈에서 하방 9cm, 연액혈 앞 3cm) |
위와 같음 |
늑간 신경통 |
24.일월(日月) |
윗배(筋) (제 9 늑연골 부착부의 밑쪽, 기문혈 밑 15cm) |
신경쇠약, 히스테리, 심기증 |
위, 간장 질환 |
25.경문(京門) |
옆허리(제12늑골 선단의 밑쪽) |
방광염, 소변적, 혼탁, 상염, 요통 |
|
26.대맥(帶脈) |
옆배(제11늑골 선단, 장문 혈의 하방 5.4cm) |
급, 탄성 부인병(자궁내막염. 대하, 경련, 생리 불순) |
|
27.오추(五樞) |
옆배(대맥혈 내하방 9 cm,상골릉 따라 하복부 쪽으로) |
위와 같음 |
고환염, 부고환염 |
28.유도(維道) |
옆배(장문 혈에서 16cm,오추혈 밑 1.5cm) |
|
구토, 식욕부진 |
29.거료(居髎) |
옆배(상전장골극의 봉공근 부착부의 뒷쪽, 대퇴근 막장근의 부착부의 함몰부) |
|
요통, 소복통. 가슴, 손의 경련 |
30.환조(環跳) |
대퇴 관절(고관절부. 대전자 전방) |
호흡기 (늑막염) |
고관절 류마티스. 신경통, 중풍성 운동 마비 |
31.풍시(風市) |
|
|
|
32.중독(中瀆) |
대퇴(대퇴 외측, 무릎위 15cm,근육 사이의 함몰부) |
족부통 |
반신불수, 각기, 슬 관절염 |
33.족양관(足陽關) |
무릎(대퇴골 외측 상과의 위쪽 함몰부 |
류마티스, 슬 관절염 |
|
34.양릉천(陽陵泉) |
하퇴(하퇴 외측. 무릎 밑 3cm함몰부) |
면종, 늑막염 |
다리 질환 전반, 족냉, 고혈압 |
35.양교(陽交) |
하퇴(하퇴 외측, 외복사뼈 상방 21cm,복사뼈는 정점에서 잰다) |
면종, 편도염, 늑막염(호흡기, 슬통, 놀램, 신경쇠약) |
|
36.외구(外丘) |
하퇴(외복사뼈 상방 21cm, 양교 혈의 앞 1cm) |
호흡기(미열-경항통(목줄), 광견병 |
|
37.광명(光明) |
하퇴(외복사뼈 상방 15cm,양교혈 직하) |
열병한불출, 족외측통 마비 |
|
38.양보(陽輔) |
하퇴 (외복사뼈 상방12cm, 양릉천 직하 선상에서 전방 1 cm) |
편도염, 가래톳(겨드랑) |
전신관절통, 족병 |
39.현종(縣鐘) |
하퇴(외복사뼈 상방 양릉천 선상) |
고혈압, 치루, 코피, 목줄 굳음 |
반신불수(뇌출혈), 위염 |
40.구허(丘墟) |
발목(바깥 복사뼈 하단에서 1cm전방 함몰부) |
눈의 침침함, 늑. 흉막염 |
위염통, 위경련, 류마티스 |
41.족임읍(足臨立) |
발등(제4, 제5중족골저 사이의 함몰부 골 접합부) |
월경불순, 가래톳 |
유선염, 심장병, 위통. 담석선통 |
42.지오회(地五會) |
발등(제 4, 제 5중족골 사이의 함몰부, 협계혈 뒤 3Cm) |
호흡기(흉통, 각혈) |
유선염 |
43.협계(俠谿) |
발등(제 4지, 제 5지기 절골저 사이, 제 4중족 지절관절 안쪽 앞) |
흉막염, 폐결핵, 열병한불출 |
감기 |
44.족규음(足竅陰) |
발가락(제 4지 외측, 발톱 뿌리 외방 3 mm) |
흉통, 기침(해수) |
두통, 수족번열(煩熱) |
가. 간경의 임상 요혈 대돈(大敦) : 정목혈(井木穴), 구급 요법, 급성병에 출혈, 생식기병, 부인병, 간병.
행간(行間) : 형화혈(熒火穴), 간열(肝熱), 간화를 제거, 눈병, 생식기의 염증.
태충(太衝) : 유토혈(兪土穴), 원혈, 사관혈중의 1혈, 기혈을 크게순환.
중봉(中封) : 경금혈(經金穴), 간병을 조절, 특히 간실에 이용.
여구(蠡溝 : 락혈(絡穴), 이기(利氣), 성욕증진에 이용.
중도(中都) : 극혈(郄穴), 간의 급성병에 이용.
슬관(膝關) : 슬 관절통에 이용.
곡천(曲泉) : 간을 보한다. 특히 하복병과 생식기병에 사용.
장문(章門) : 비의 모혈(募穴)로 이용된다.
기문(期間) : 간의 모혈(募穴), 기침, 천식, 흉륵병(胸肋病), 근통(筋痛).
나. 간경 13혈
혈명
|
부위
|
공통증
|
특효증
|
1. 대돈(大敦) |
엄지끝(엄지발톱 뿌리 외측 1mm) |
요도염, 고환염, 자궁 탈출, 발기 불능 |
인사불성, 강쇼크 |
2. 행간(行間) |
발가락(제 1지 . 제2지 기절골저 사이, 중족 지절관적안, 적백육의 경계) |
생식기(음부 냄새), 방광 |
소아 경련, 구토, 늑간 신경통 |
3. 태충(太衝) |
발등(제 1제2중족골저 사이. 행간혈 후 6 cm, 박동부) |
월경 과다 자궁병 |
담석, 구토. 흉막염, 늑간 신경통 |
4. 중봉(中封) |
발목(안 복사뼈 전방 1.5cm함몰부) |
고환염, 고환복입(腹入), 방광염, 요도염 |
허리삠 |
5. 여구(蠡溝) |
하퇴(안 복사뼈(정점) 상방 l5cm.정강뼈 내측면 뒤쪽에서 약 9mm전방) |
부인병(적백대하, 생리 분순), 방광염, 방광 마비 |
|
6. 중도(中都) |
하퇴(안 복사뼈 상방 21cm, 정강이뼈 내측면 뒤쪽에서 약 8mm전방) |
남녀 생식기병 |
소화기 (장염, 궤양) |
7. 슬관(膝關) |
하퇴(독비혈의 하방 6 cm점에서 후방으로 선을 그어 곡천혈 직하6cm) |
인후통 |
슬 관절통, 류마티스 |
8. 곡천(曲泉) |
무릎(슬 관절을 구부려 슬와의 옆주름 내단) |
요도염, 임질, 자궁 탈출, 음낭수종 |
시력 감퇴, 어지러움, 몽정 |
9. 음포(陰包) |
대퇴(대퇴내측 대퇴골 내측 상과의 상방 12cm,봉공근과 박근 사이) |
생리 불순, 방광 신장 질환 |
소변란, 요통, 소복통 |
10. 족오리(足五里) |
대퇴(대퇴 내측강부, 기충혈 하방 9 cm) |
방광염, 신장염 |
신장결석, 중풍(반신불순) |
11. 음렴(陰廉) |
대퇴(대퇴내측 상부, 기충혈(위경)하방 6 cm,대퇴 동맥의 박동부) |
불임증, 유산(습관성) |
|
12.급맥 |
|
|
|
13.장문(章門) |
옆가슴(제11늑골 선단 바로 밑) |
자궁 경련, 장뇌조, 복막염 |
늑간 신경통, 사지 권태 |
14.기문(期間) |
옆가슴(제 9늑연골 부착부 직하, 유두선에서 약간 내측) |
생리 불순, 자궁내막염 |
담낭염, 당뇨병, 복막염, 간장병 |
자료 출처 및 오행침 수강 : 한국오행벌침연구협회
: http://sarm.co.kr/
|
|